-
2025 - 03 - 29 "후니의 네트워크 공부일지" Day+4Network 2025. 3. 29. 16:31
프로토콜이란 우리말로 하면 협약 규약이라는 것이므로
컴퓨터끼리는 이런 프로토콜이라는 것이 서로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PC들은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PC가 TCP/I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합니다.
그런데 이런 프로토콜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 와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에서 배틀넷에 접속해서 하는 경우,
인터넷에 접속한 게이머들과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TCP/IP를 사용하지만
같은 게임방에서 친구들끼리 편을 나누어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IPX 를 사용합니다.
IPX도 컴퓨터가 통신하는 방법중 하나이고, 또 서로 게임을 할 수 있는 건 바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떄문입니다.
즉 게임방에 설치되어 있는 PC는 최소한 두 개의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하나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TCP/IP, 또 하나는 내부에서 같이 하기 위한 IPX입니다.
또 매킨토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인 AppleTalk 이 있습니다.
'맥' 이라고도 부르는 매킨토시들이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애플토크입니다.TCP/IP 라는 프로토콜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의 약자인 TCP/IP는
ARPANET에 의해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호스트들은 고유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 뿐만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까지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호스트들의 고유 주소는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이란 단체에서 관리 분배되고 있습니다.IP 주소
인터넷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나씩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로 IP 주소입니다.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지문과 같은 고유적인 느낌이죠.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은 모두 서로 다른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말씀드린 것과 달리 요즘 인터넷은 같은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는 이제 거의 전부를 사용해 버렸기 때문에 각기 다른 IP 주소를 사용 한다는 것이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고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 주소를 사용하고, 인터넷으로 나갈 때만 공인주소(즉 유일한 IP 주소)를 가지고 나가는 방식인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나 동일한 IP 주소를 가지고 여러명이 인터넷에 접속하면서 포트 넘버만을 바꾸는 PAT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일한 IP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공인된 IP 주소를 관리하고 나눠줘야 하는데 전 세계에 이런 공인 주소를 나눠주고 관리해주는 기관이 바로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라는 곳입니다.'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 04 - 07 "후니의 네트워크 공부일지" Day+5 (0) 2025.04.07 2025 - 03 - 24 "후니의 네트워크 공부일지" Day+3 (2) 2025.03.24 2025 - 03 - 06 "후니의 네트워크 공부일지" Day+2 (0) 2025.03.07 2025 - 03 - 04 "후니의 네트워크 공부일지" Day+1 (0) 2025.03.06